안녕하세요, 요즘 여러분들이 갖고 있는 가장 큰 관심사는 어디입니까? 강다니엘 인가요? 개기일식인가요? 슈퍼문, 평창 올림픽인가요? 여러가지가 있을텐데요, 저는 요즘 ‘4차 산업혁명’에 꽂혔습니다. 전공이 ‘정보경영학’이다 보니 사물 인터넷 및 빅데이터에 대해 관심있게 공부할 수밖에 없었는데, 막연하게만 갖고 있던 두려움이 실체를 점점 드러내고 있어서 굉장히 설레이는 중입니다. 누구나 아! 할 수 있는 4차 산업 혁명의 키워드로는 ‘알파고’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프로 기사인 ‘이세돌’과 구글사에서 개발한 AI의 집약체인 ‘알파고’의 승부로 세간의 관심을 가졌었습니다. 이 외에도 2020년도에는 지금까지 축적된 ‘사물 인터넷’과 ‘인공 지능’ 그리고 ‘GPS 서비스’가 집약하여, 많은 자동차 업계에서는 ‘..
‘슬픔’은 정상적인 감정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감정입니다. 슬픔은 당신의 경험과 심리적인 성숙에 관련된 감정입니다. 따라서 모든 슬픔에서 벗어나거나 모든 슬픔을 억누르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감정이라는 것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행동은 심리적인 손상을 가져올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스스로가 우울증을 함께 동반한다면, 전문의를 통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경미한 정도라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 해야겠습니다. 첫 번째, 슬픔을 받아 드려야 합니다. 보통 슬픔은 ‘부정적인 감정’이기 때문에 결점으로 받아 들여지는데, 오늘날과 달리 과거에는 높게 평가 되어지는 감정이었습니다. 종교인에게는 슬픔이 겸손의 상징이자 자신을 불완전한 존재로 깨닫게 하는 매개체..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주변에 잘난척 하는 사람이 많나요? 혹은 잘난척 많이 한다는 얘기 들어보신 적 있으 신가요?사실 부끄럽지만 저는 사춘기 시절 잘난척을 많이 했던 사람입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다른 사람에게 주목 받고 싶은 욕구도 강했고, 뭔가 스스로에게 결핍을 느꼈기 때문에 말로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고 관심을 받고 인정 받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 경유가 되었든 간에 본인이 잘난척을 많이 하기 때문에 고치기 위해서 오신 분들도 있으실테고, 주변에 잘난척 하는 사람이 있어서 ‘왜 그럴까’ 궁금해서 오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다양한 해석’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따라 오시죠! 우선 큰 갈래를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정신적인 문제와 사회적 지능의 문제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정신..